1. SSPL 정의
-. 대량고객맞춤화 생산이 가능하도록 플랫폼·프로세스를 사용해 SW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패러다임.
-. 핵심은 다품종 다수고객 맞춤생산을 위해 SW 아키텍처나 컴포넌트 등 핵심 자산을 재사용하는 데 있다. 대신 가변 요소를 집중적으로 개발해 SW 개발 공정을 집약적으로 변화시켜 원가절감과 품질개선, 적기출하 등을 가능하게 해준다.
2. SSPL의 4대 요소
1) 대량고객맞춤화 역량
-. SSPL이 다수의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대량고객 맞춤화를 목적으로 함
모든 산업은 고객 만족을 높이는 방향을 발전해왔다. 기업 역시 고객 만족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경쟁을 펼친다. 고객 만족을 위해서는 기능, 성능, 신뢰성, 안전성, 편리성 등의 품질 측면 뿐만 아니라 가격, 유지비 등 경제성과 적시출시 등도 중요하다.
2) 플랫폼
-. 플랫폼은 다른 기술이나 프로세스가 만들어지는 기술 기반이다. 즉 체계적으로 재사용되는 자산 체계를 의미한다. 제품라인(프로덕트 라인)은 같은 플랫폼을 공유하면서 유사한 특징을 갖는 제품군을 의미한다. SSPL은 내부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품라인을 개발함으로써 개발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다수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다.
3) 프로세스
-. 프로세스는 작업 처리 공정을 의미한다. SSPL에서는 사용자 업무 프로세스, 개발 프로세스, 운영 프로세스를 모두 의미하며 플랫폼과 프로세스를 융합·개발해 최적화한다. 사용자, 개발자, 운영자 업무 프로세스가 플랫폼에 통합 반영돼 자동화되고 최적화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해준다.
4) SW와 시스템의 융합 -. SSPL은 SW와 일반 시스템 개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 SW와 시스템이 융합된 SW 집약시스템 개발에도 적용될 수 있다. SSPL은 SW와 시스템을 통일된 관점에서 개발함으로써 시스템 개발을 더욱 용이하게 해준다
3. SSPL 적용분야
1) 현재 SSPL은 SW 중심 제품을 생산하는 여러 제조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전기장치 SW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보쉬, 컨티네털 같은 유럽 자동차 전기장치 부품업체는 일찌감치 SSPL을 적용해 자동차 전기장치 부품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델파이, 덴소와 같은 미국 및 일본 자동차 전지장치 부품업체도 동참하고 있다.
2) 서비스·컨설팅에도 적용- SSPL은 컨설팅 산업에서도 이미 적용 사례가 존재한다. 자유무역협정(FTA)에 준거한 원산지 판정솔루션이 그 사례다. FTA를 활용하려는 수출기업은 FTA 협정조항과 각국 관세법에 의한 요건충족을 증명해야 한다. 이를 돕는 것이 원산지 판정솔루션이다.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